I grew up on this land. From childhood to adulthood, I spent my youth on this beautiful and magical soil. I left my hometown when I became a soldier, and after my service, I returned to this native land. As the years went by, the busyness of work made it difficult for me to go home. However, my heart always yearns for this land that bore and raised me, for my fellow villagers and elders, for my brothers and sisters, for my nieces, nephews, and their children, and for those unforgettable years.
In recent years, after completing the first two parts of my spiritual journey through photography, I returned to my hometown once again. Besides wanting to witness the tremendous changes in my hometown with my own eyes, it was more important for me to use images to express my concern for the younger generation—to focus on the next generation living and multiplying on this land, on a vanishing horizon. Using their daily lives as an entry point, I aim to reveal the thoughts and ideas of the post-90s generation.
There is no piece of pure land in this world. Under the same blue sky, there will naturally be mutual influences, to a greater or lesser extent, between people and between people and the natural space they inhabit. This is especially true in an era of material desire, where the younger generation naturally falls into an indescribable state—should traditional culture be inherited or abandoned? How do they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trends? What constitutes a balance between the two? What is the impact of consumerism on them? All these are the reasons that compel me to delve deeper into this confusion and bewilderment.
The group of post-90s youths I photographed this time includes those of my nieces’ and nephews’ generation, as well as those of my grand-nieces’ and grand-nephews’ generation. It is precisely through this method of visual documentation that I hope to find, in my records of them, some of the post-90s generation’s ways of thinking about current trends. My goal is to metaphorically reveal the phenomenon of consumerism’s impact on and collision with traditional culture, prompting more people to think and interpret.
The quiet Shuoduo Gang River has flowed for millions of years. Although time passes and the era is constantly developing and changing, I still hope that the souls living on this land can find a paradise of their own.
To my hometown, to my elders and fellow villagers, to the younger generation that lives on and on upon this land—Tashi Delek!
我生长在这块土地上,从小到大,在这片美丽神奇的土地上,我走过了我的青少年时代,当兵后我离开了我的故乡,退役后我又回到了这块故土。随着岁月的变迁,由于工作的繁忙,使得我很难回家。但是,我的心仍时时刻刻眷恋这块生我养我的土地,眷恋着我的乡亲父老,眷恋着我的兄弟姐妹,眷恋着我的姪儿姪孙们,眷恋着让我永远令人难以忘怀的岁月。
近年来,当我在用摄影的方式完成了我前两部心灵之旅的创作之后,我再一次回到了家乡,除想亲身目睹家乡的巨大变化之外,更重要的还是想用影像表达我对年轻一代人的关注——在一块即将消失的地平线上,去关注生存在这块土地上的繁衍生息的下一代,以其日常生活状态作为切入点,去揭示出九零后年轻一代人的所思所想。
世界上没有一片净土,在同样的蓝天下,人与人之间、人与所生存的自然空间,自然会或多或少地相互影响,特别是在一个物欲的时代,年轻一代自然而然地就陷入到一种难以言喻的境界——对传统文化是继承还是摒弃?他们是怎样看待传统文化与时尚潮流的关系的?如何才算得上是两者兼顾?消费主义对他们的影响如何?等等这些,都是让我去深究这种困惑和迷茫的原因……
此次拍摄的这群九零后年轻人,他们有的是我的姪儿姪女辈,有的是我的姪孙儿女辈。我正是想通过这样的影像记录方式,希望能从对他们的记录中,寻找到一些九零后年轻人对当下时尚潮流的思维理念,以求隐喻地揭示出消费主义对传统文化的冲击与碰撞的一种现象,让更多的人去思考、去解读。
静静的硕多岗河,流淌了千万年,尽管随着时间的流逝,时代也在不断发展变化,但我还是希望生存在这片土地上的生灵,能找回属于自己的一片乐土。
愿我的故乡、愿我的父老乡亲、愿在这方土地上生生不息的年轻一代——扎西德勒!
나는 이 땅에서 태어나 자랐다. 어릴 적부터 이 아름답고도 신비한 고장에서 청춘을 보냈고, 군 입대를 계기로 고향을 떠났다가 전역 후 다시 이 땅으로 돌아왔다. 세월이 흐르고, 일에 치이다 보니 자주 고향을 찾기란 쉽지 않지만, 내 마음은 언제나 이 땅을 그리워하고 있다. 나를 낳고 길러준 땅, 정든 부모 형제, 조카들과 그 자녀들, 그리고 무엇보다 가슴 깊이 각인된 그 시절의 기억을.
지난 몇 해 동안 나는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 두 편의 ‘마음의 여정’을 완성했고, 그 후 다시 고향을 찾았다. 고향의 거대한 변화를 직접 보고 싶었고, 더 중요한 이유는 그 땅에서 살아가고 있는 젊은 세대들에 대한 나의 관심을 이미지로 표현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사라져 가는 지평선 위, 이 땅 위에 뿌리를 두고 살아가는 새로운 세대들의 일상 속으로 들어가 그들의 생각과 마음을 들여다보고 싶었다.
이 세상 어디에도 완전한 ‘정토(淨土)’는 없다. 같은 하늘 아래, 사람과 사람 사이, 사람과 자연 사이에는 크고 작은 상호작용이 있다. 특히 물질적 욕망이 팽배한 이 시대에 젊은 세대는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복잡한 상태에 빠져 있다. 전통문화를 이어갈 것인가, 아니면 외면할 것인가? 그들은 전통과 유행의 관계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두 가치를 동시에 지켜내는 길은 과연 무엇일까? 소비주의가 그들에게 끼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일까? 이런 물음들이 나로 하여금 그들의 혼란과 방황에 대해 깊이 천착하게 만든 이유였다.
이번에 촬영한 젊은이들은 나의 조카이거나 그 자녀들이다. 나는 그들의 삶을 기록함으로써, 90년대 이후 세대가 어떤 방식으로 유행을 수용하고 사고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그러한 이미지 속에서 전통문화와 소비주의의 충돌이 만들어내는 현상을 은유적으로 보여주고 싶었다. 많은 이들이 이 현상을 함께 고민하고 해석해 보기를 바란다.
조용히 흘러온 솨뚜오강은 수천 년 동안 이 땅을 적셔왔다. 시간은 흐르고 시대는 변했지만, 나는 여전히 이 땅 위의 생명들이 자기만의 터전을 되찾기를 바란다.
나의 고향이여, 나의 정든 부모 형제들이여, 그리고 이 땅에서 생생히 살아가고 있는 젊은 세대여—자시들러(티베트어로 ‘행운을 빕니다’).
扎西罗丹(杨学光)
中国摄影家协会会员
云南省摄影家协会会员
香格里拉摄影家协会主席
展览
2022 《茶马古道》参加《江河影像》2022第五届宁波国际摄影周
2018 《静静的硕都岗河——我的兄弟姊妹》参加“2018’首届
北镇国际摄影大展”
《静静的硕都岗河——我的兄弟姊妹》入围“第二届中国
民族影像志摄影大展”
《静静的硕都岗河——我的兄弟姊妹》参加韩国“东江国际摄
影节”展|韩国·东江
《茶马古道》参加“2018’(第 十届)西双版纳国际影像展
——一条大河·双年展”|云南·景洪
2017 《静静的硕都岗河——我的兄弟姊妹》参加 “2017’ (第六届)西双版纳国际影像展——云的下面,故乡之路……中国少数民族摄影师摄影作品展”|云南·景洪
2016 《朝圣的信徒》参加“2016’第四届西双版纳国际影像展——一条大河•金孔雀双年展”|云南·景洪
《静静的硕都岗河——我的兄弟姊妹》参加甘肃“天水国际摄影”展|甘肃·天水
2015 《静静的硕都岗河——我的兄弟姊妹》参加“乡土中国”全国摄影大展
2014 《静静的硕都岗河——我的兄弟姊妹》参加“前后左右——云南1960~1990年代当代影像提名展”,云南曲靖、昆明、蒙自巡回展
《静静的硕都岗河——我的兄弟姊妹》参加西双版纳国际影像展——“2014在水一方金孔雀双年展”
2013 故乡的路——10位少数民族摄影师联展,北京映画廊
故乡的路——8位少数民族摄影师联展,贵州
《静静的硕都岗河》参加首届马来西亚槟城OBSCURA国际摄影节
2012 第四届中国(济南)国际摄影双年展
第十二届平遥国际摄影大展,山西平遥
《北京草场地摄影季——阿尔勒在北京》
第四届“三影堂”摄影奖作品展
《罗平国际摄影节》摄影展
2011 第三届大理国际影会展,云南大理
《龛里龛外——云南摄影的道外之道》影像展
《同饮一江水》中外摄影家邀请展,澜沧江•湄公河流域国家文化艺术节
获奖
2018 《静静的硕都岗河——我的兄弟姊妹》获“第二届中国
民族影像志摄影大展” 优秀摄影作品奖
2014 《静静的硕都岗河——我的兄弟姊妹》获西双版纳国际影像展——“2014在水一方金孔雀双年展”最佳民族题材作品奖
2013 《静静的硕都岗河》获云南文艺基金贡献奖
2012 《静静的硕都岗河》获“云南文化精品工程”三等奖
《静静的硕都岗河》获第十二届平遥国际摄影大展优秀摄影师奖
《静静的硕都岗河》获第四届中国(济南)国际摄影双年展优
秀摄影师提名奖
2011 《静静的硕都岗河》获第三届大理国际影会“金翅鸟”新锐摄
影师提名奖
2009 《俯瞰三江》个人摄影专辑入选第五届“云南文化精品工程”
《生命之河——长江(生态摄影大奖赛)》三等奖
《纳帕海湿地景观》组照获 “云南生态保护摄影大赛”金奖。
2002 《香格里拉鸟瞰》作品获20届中国摄影艺术展铜奖
2001 《柯达杯-中国摄影2001》专业反转片优秀摄影师提名奖
1999 《藏族婚礼》组照获全国画报理论研讨暨优秀报道作品专题摄影三等奖
个人摄影专辑出版
《俯瞰三江》
主编摄影专辑
《大雁落脚的地方——香格里拉湿地》,《理想家园-香格里拉》
作品发表
多次在 《中国摄影》、《大众摄影》、《摄影之友》、《中国国家地理》等刊物上发表作品
作品收藏
私人收藏、徐肖冰摄影博物馆、大理影像博物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