通过与通过海洋紧密相连的中国摄影师的交流,我们探讨两国在历史上所共享的文化与艺术视角,并重新诠释其相互联系。 由少数民族摄影师拍摄其本民族的摄影作品,我们得以观察中国少数民族的生活与环境,并以艺术的方式传达对社会文化多样性与尊重的认知。
Through exchanges with Chinese photographers who are closely connected via the sea, we explore the cultural and artistic perspectives shared by the two countries throughout history and reinterpret their interconnectedness. By presenting photographs taken by ethnic minority photographers depicting their own communities, we observe the lives and environments of ethnic minorities in China and artistically convey awareness of sociocultural diversity and respect
바다를 통해 가깝게 연결된 중국의 사진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역사적으로 많은 부분을 공유했던 두 나라의 문화예술적 시각을 탐구하고 그 연결성을 재해석합니다. 소수민족인 사진작가가 자신이 속한 소수민족을 촬영한 사진을 통해 중국 내의 소수민족의 삶과 환경을 관찰하고, 사회문화적 다양성과 존중에 대한 인식을 예술적으로 전달합니다.
远方的呼唤
策展人:石明
应仁川海洋国际摄影节总策展人柳银圭先生之邀,策展一个具有云南少数民族文化特征的摄影联展。对此,我对近年以来云南少数民族摄影师的专题摄影作品进行了一个梳理,并根据我的思考,为此次大展奉上了16位云南本土摄影师的专题摄影作品。可以说,这是我第二次为仁川海洋国际摄影节策展了。
我曾两次到过仁川,今年是第三次。韩国仁川与中国云南相比,一个是海滨城市,而另一个则是高原内陆。但是,我在2024年到仁川时,却让我惊诧地发现,我在云南少数民族地区看到过的现象之一——“鸡蛋用草编着卖”,竟然在仁川的乡下集市也是这样的。当然,还有很多相似的物件也是如此的一样(竹编、草编、甚至生产工具)。这不得不让我由衷地感叹——世界一下子变小了!看来不论是什么民族,人类在长期生存的过程中,所造就的农耕文明都是一致的,或许这就是我们所认知的“民族里面有世界”!
记得我曾引用过哲学家陈嘉映在为陈小波主编的《中国摄影家》写的总序中曾经说的:“一个山村是一个世界,世界之为世界,不在于涵盖的面积广大。你可以从北京飞到巴黎,从巴黎飞到圣保罗,可你出出入入的,只不过是个会场,你听的说的,还是上次会议说过听过的那些话。这里也许有全球化,但没有世界。世界是我们取食于此、欢笑于此、相濡以沫于此、丧葬于此的生活整体”。
此次参展的16位云南本土摄影师,正是想通过各自不同的表达方式,向观者传达出“世界是我们取食于此、欢笑于此、相濡以沫于此、丧葬于此的生活整体”。
我们可以看岀:洪松平、绞雄才的作品,正通过自己的亲身体验,把自己的生活经历植入到自我的思维考量中,把自己的命运与家族的命运紧密联系在一起,造就了摄影师从各自不同的角度、各自不同的创作手法,去呈现自己的价值取向;
张孝雷、罗欣、李典伊娜、李维俊、扎西罗丹的作品,则从对民族服饰文化内涵的深入挖掘,在展示民族传统文化的独特魅力与内涵之中,去隐喻地揭示出传统文化与时尚潮流的碰撞所带来的困惑与迷茫;
胡群山、苏金泉、赵子忠、赵汀、冯灿、罗恒宇、许永杰、戴云良的作品,则从对家乡各少数民族的生存状况、生活习俗、乃至生活环境的变迁,以及传统文化的传承,都诠释了各自不同的观看感受,这不禁让我想起了柳银圭先生长期跟踪创作的《青鹤洞》。他们对家乡的亲情,无不跃然画面之间。更是让我们既有“身临其境”之感,又有眷恋家乡父老乡亲的情怀。
从摄影的视角看,这16位参展摄影师的作品,尽管表现方式不同,但从中你可以看出:这些作品,风格各异,创作手法更是新颖独特。是一种发自内心的、“耐看”的影像。从摄影的另一个层面讲,这或许正是我们所提倡的真正意义上的摄影——关注身边的人和事,注入人文情怀关注的激情,在当下时代大变迁的潮流中,以多元化的创作理念,来诠释自己的独立创作意识。
我以前曾经说过,作为一个真正的影像艺术家,除了具备独立的艺术个性外,其创作态度、创作思维方式也将是独立的。也就是说,怎样在思考摄影的本质属性中,把自己的创作构想融入到丰富的资源背景中,通过摄影的形式,把自己心灵的思考,转换成一种与观者互动的心灵碰撞。而这一点,正是此次参展的16位云南本土摄影师所做出的诠释。
让我们一起探讨两国“在历史发展进程中所共享的文化传承与多元化艺术的融合,通过影像媒介的传递方式,重新诠释其相互之间的联系。犹如云南本土摄影师拍摄的其本土少数民族的摄影作品,不仅能使我们得以观察到云南少数民族的生活习俗与生存状况,同时,从中也可以看出他们以摄影艺术创作的视角,传达出来的对社会文化多样性的观看态度与相互尊重的认知。”
在此,期盼每一位观看者,在参展摄影师为我们呈现的视觉盛宴中,在观看的对视里,相互得到心灵的碰撞与洗礼,用真心去感受“远方的呼唤”的真实含义所在!
再次感谢仁川海洋国际摄影节!感谢柳银圭先生!为云南本土摄影师提供了一个与世界交流的桥梁与平台.
인천해양국제사진제 총감독 류은규 선생님의 초청으로, 이번에 저는 운남(云南) 소수민족의 문화적 특성을 지닌 사진 공동기획전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저는 최근 몇 년 동안 운남 소수민족 사진작가들의 기획 사진 작업들을 정리하고, 그에 대한 저의 고민을 바탕으로 이번 전시에 총 16명의 운남 지역 사진작가들의 주제별 작업을 엄선해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이 제가 인천해양국제사진제에서 큐레이팅을 맡은 두 번째 기회입니다.
저는 인천을 두 번 방문한 적이 있고, 올해가 세 번째입니다. 한국의 인천과 중국의 운남은 하나는 해변 도시이고, 다른 하나는 고원의 내륙 도시입니다. 그런데 2024년 인천을 방문했을 때, 제가 놀랍게도 운남 소수민족 지역에서 봤던 현상 중 하나인 “계란을 풀로 엮어 판매하는 방식”이 인천 시골 장터에서도 똑같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물론 그 외에도 비슷한 물건들이 많았습니다(대나무 바구니, 풀로 엮은 공예품, 심지어 생산 도구까지). 이 경험은 저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습니다 — 세상이 정말 작아졌다는 느낌이었습니다. 민족이 다르더라도 인간이 장기간 살아가면서 만들어 낸 농경 문명은 결국 유사하다는 사실, 이것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민족 안에 세계가 있다”는 말의 의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철학자 진지아잉(陈嘉映)은 『중국사진가』 총서 서문에서 이렇게 말한 바 있습니다.
“하나의 산촌이 하나의 세계이다. 세계가 세계인 이유는 넓은 면적을 포괄해서가 아니다.
당신이 베이징에서 파리로, 파리에서 상파울루로 간다 해도, 그건 단지 회의장을 오가는 것일 뿐, 듣고 말하는 것도 여전히 지난번 회의와 같은 이야기들이다.
그곳에 세계화는 있을지 몰라도, 세계는 없다.
세계란 우리가 먹고, 웃고, 서로 의지하고, 장례를 치르는 삶의 전체이다.”
이번에 참여한 16명의 운남 지역 사진작가들은 바로 그 "삶의 전체로서의 세계"를 각자의 방식으로 관람자에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홍쑹핑(洪松平), 자오슝차이(绞雄才)**의 작업은 자신의 삶을 직접 경험한 체험을 바탕으로, 삶의 서사를 사유에 녹여내며, 개인과 가족의 운명을 긴밀히 연결해 사진을 통해 자신만의 가치관을 보여줍니다.
**장샤오레이(张孝雷), 루오신(罗欣), 리뎬이나(李典伊娜), 리웨이쥔(李维俊), 자시뤄단(扎西罗丹)**의 작업은 민족 의복의 문화적 의미를 깊이 파고들면서, 전통문화와 현대 패션 트렌드가 충돌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혼란과 정체성의 문제를 은유적으로 드러냅니다.
**후췬산(胡群山), 쑤진취안(苏金泉), 자오쯔중(赵子忠), 자오팅(赵汀), 펑찬(冯灿), 루오헝위(罗恒宇), 쉬융제(许永杰), 다이윈량(戴云良)**은 각 민족의 생존 방식, 생활습관, 자연 환경의 변화, 전통문화의 계승 등을 주제로, 고향에 대한 애정과 민족 정서를 깊은 시선으로 담아냅니다. 이들의 작업은 류은규 선생님의 장기 프로젝트인 《청학동》을 떠오르게 합니다. 사진 속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관람자로 하여금 그 삶의 현장에 있는 듯한 몰입감과 고향에 대한 향수를 동시에 불러일으킵니다.
사진적으로 보면, 이 16명의 작가들의 작품은 표현 방식은 제각각이지만, 각기 다른 스타일과 독창적인 창작 기법을 통해 매우 내면적이며 ‘곱씹을수록 깊이 있는’ 시각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또한 사진의 본질을 고민하며 인간과 삶에 대한 관심, 인문적 성찰, 시대 변화 속 다원적 창작 철학으로 자신만의 독립된 표현을 시도하는 진정한 사진예술의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저는 예전에도 말했듯이, 진정한 사진 예술가는 독립적인 예술성을 갖출 뿐만 아니라 창작 태도와 사고방식 또한 독립적이어야 합니다. 즉, 사진의 본질을 사유하며 자신의 창작 구상을 풍부한 문화적 맥락에 녹여내고, 이를 통해 관람자와의 심리적 교감을 끌어내야 합니다. 그리고 이번 전시에 참여한 16명의 운남 사진작가들은 바로 그 점을 충실히 실천해내고 있습니다.
이번 기획전은 역사적 흐름 속에서 한국과 중국 두 나라가 공유해 온 문화적 전통과 예술의 다양성을,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 다시 해석하고자 합니다. 운남 소수민족의 삶과 문화를 포착한 사진들은 단지 민속의 기록을 넘어서, 사회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관찰과 타자에 대한 존중의 시각을 담고 있습니다.
이 전시를 관람하는 모든 분들이 작가들이 전하는 시선과 메시지를 통해 진정한 ‘먼 곳의 부름’이 무엇인지를 마음으로 느끼시길 바랍니다. 이 사진을 보는 행위가 곧 작가와의 시선이 마주하는 순간이며, 그것이 감정과 사고의 충돌, 그리고 정화로 이어지기를 소망합니다.
끝으로, 운남 지역 사진작가들에게 세계와 연결되는 다리와 무대를 마련해주신 인천해양국제사진제와 류은규 선생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The Call from Afar”
Curator: Shi Ming
At the invitation of Mr. Ryu Eun-kyu, Artistic Director of the Incheon Marine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I have curated a special photography exhibition featur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thnic minorities in Yunnan, China. To prepare for this, I reviewed and organized thematic works by Yunnan-based photographers from recent years, and after careful consideration, selected the works of 16 local photographers for this major exhibition. This marks my second time curating for the Incheon Marine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I have visited Incheon twice before, and this year is my third visit. Compared to Yunnan, which is an inland highland region, Incheon is a coastal city. However, during my visit to Incheon in 2024, I was astonished to discover a familiar scene from Yunnan’s minority areas — eggs being wrapped and sold in straw baskets — still commonly seen in rural markets in Incheon. Many other items were also strikingly similar (bamboo and straw crafts, even traditional farming tools). This deeply moved me, and I couldn’t help but feel that the world has become much smaller. Regardless of ethnicity, the agricultural civilizations built through generations of human survival share striking commonalities. Perhaps this is the meaning behind the phrase, “within each ethnicity, a world exists.”
I am reminded of a passage by philosopher Chen Jiaying, in his introduction to Chinese Photographers edited by Chen Xiaobo:
“A mountain village is a world unto itself. The world, as a world, is not defined by its vast size. You may fly from Beijing to Paris, from Paris to São Paulo, but what you’re entering and exiting are merely meeting halls, hearing the same things said at the last meeting. That may be globalization, but it is not the world. The world is the totality of life — where we eat, laugh, care for each other, and hold funerals together.”
The 16 participating photographers from Yunnan aim to communicate this totality of life — the world as we live it — each in their own unique way.
Let me give a few examples:
Hong Songping and Jiao Xiongchai, through personal experience, integrate their own life stories into thoughtful narratives. They link their individual destinies with that of their families, expressing personal values through distinct perspectives and creative approaches.
Zhang Xiaolei, Luo Xin, Li Dian’ina, Li Weijun, and Zhaxi Luodan delve into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raditional ethnic clothing. Their works metaphorically reveal the confusion and identity crises that arise when traditional cultures collide with modern fashion trends.
Hu Qunshan, Su Jinquan, Zhao Zizhong, Zhao Ting, Feng Can, Luo Hengyu, Xu Yongjie, and Dai Yunliang explore the lifestyles, customs, changing environments, and cultural heritage of minority groups in their hometowns. Their deep affection for their roots is vividly portrayed in their images. Their works remind me of Mr. Ryu Eun-kyu’s long-term photographic project Cheonghak-dong, as they evoke a strong sense of being present in the scene, as well as nostalgic emotions for one’s homeland and community.
From a photographic perspective, while the works of these 16 artists vary in style and technique, each offers a unique and sincere visual language — images that endure and deepen with time. They exemplify what we might call true photography: paying attention to people and events close to us, infused with a deep humanistic sensibility, and responding to the sweeping changes of our era through diverse creative philosophies that reflect independent artistic thought.
As I have said before, a true photographic artist must possess not only an independent artistic personality but also a distinctive attitude and mode of thinking. That is, one must embed personal creative vision within rich contextual resources, and through photography, transform inner reflection into emotional resonance with the viewer. This is exactly what these 16 Yunnan photographers have accomplished in this exhibition.
This joint exhibition seeks to re-express the shared cultural heritage and artistic diversity between Korea and China within the broader arc of history — using photography as a medium of dialogue. The images of Yunnan’s ethnic minority communities not only offer a window into their way of life, but also convey the photographers’ respect for cultural diversity and their attentive, ethical gaze toward the world.
I hope every visitor can feel a genuine “call from afar” in this visual feast presented by the participating photographers — a call that brings about emotional connection and reflection, through the simple act of seeing and being seen.
Once again, I extend my sincere thanks to the Incheon Marine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and to Mr. Ryu Eun-kyu for building this bridge that connects Yunnan’s local photographers with the wider world.